티스토리 뷰
[일본, 수급 일체형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논의]
경제산업성 에너지 절약 ・ 신에너지 분과회의는 재생에너지 자립을 위한 수급일체형 활용방안 논의 (’18.11.)
○ 전력 시스템 및 재생에너지의 대량 도입을 통해 전력 공급의 주체 및 수요자가 다양화되어 새로운 분산형 전력 시스템으로 변화 발생
- 주택용 태양광 발전비용이 전력 소매요금 수준 (24 엔 /kWh) 으로 낮아져 FIT ( 발전차액지원제도 ) * 에서 탈피하여 수요와 공급이 일체화된 모델로 확대될 전망
* 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해 공급한 전기의 전력거래가격이 부처가 고시한 기준가격보다 낮은 경우 그 차액을 지원하는 제도
-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 추구 및 지역경제 산업 활성화 , 재해 발생시 지역 에너지 공급 등 재생에너지 활용 모델 구축이 필요
< 전력시스템 변화와 재생에너지 새로운 활용 모델 >
○ 본 분과회의에서는 가정 , 대량 수요자 , 지역으로 구분하여 수급일체형 재생에너지 활용모델을 분석
1) 가정
○ 주택용 태양광 에너지 저장기술을 조합한 효율적 자가소비 추진
- 잉여 전력을 축전지 및 EV, PHV 로 저장하거나 히트펌프 온수기로 열을 저장하여 이를 활용
○ 자가발전소 (VPP) 애그리게이터 * (Aggregator) 가 축전지를 활용하여 가정의 잉여전력 효율적 활용
* 소비자, 프로슈머, 생산자 등을 모아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는 중개사업자나 중개 플랫폼을 의미
○ 주택용 태양광 자동 가동기능 활용 및 에너팜 (ENE-FARM, 가정용 연료전지 ) 등 다른 전원 등을 조합한 재해 대책
- 주택용 태양광 발전 설비의 대부분은 정전시 자동 가동을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,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기를 이용
2) 대량 수요자
○ ESG 투자 확대 및 RE100(Renewable Energy 100) 등 재생에너지 지향 기업의 증가로 일본 기업 등 대량 수요자에 의한 재생에너지 전기 수요가 증가
- 관련 사례로 훗카이도 지진에 의한 대규모 정전 발생시 ZEB( 제로 에너지빌딩 ) 에서 전원 확보 등을 들 수 있음
3) 지역
○ 지역 단위에서도 재생에너지 수급 일체형 모델 구축을 목표로 지역 부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산지소 및 신산업 창출 등 지역 활성화 방안 검토 - 지역과 공생하면서 자립화를 목표로 하는 바이오매스 발전 등은 FIT 로부터 자립이 과제이며 , 에너지 공급 구조에 참여하는 사업자가 주체가 되어 지역의 재생에너지와 열공급 , 열병합발전 등 에너지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축 - 독일에서는 공영기업이 지역 내 재생에너지를 포함 에너지 공급 모델이 되고 있어 , 일본 내에서도 관련 정책이 필요
< 지역 재생에너지 자립 모델 >
'기술자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국, 상하이 과학기술 발전 성과 분석 (0) | 2019.01.31 |
---|---|
일본 차세대 컴퓨터 '케이' 중간 평가 발표 (0) | 2019.01.27 |
미국,제조업 재활성화 방안 연구 (0) | 2018.01.21 |
글로벌 기업 R&D 투자,IT기업 두각…삼성전자 4위 (0) | 2018.01.18 |
폴더블 스마트폰 상용화 박차 (0) | 2018.01.16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가상현실
- 비트코인
- 자율주행차
- 삼성전자
- 연설문
- 교육효과
- 빅데이터
- AR
- 헬스케어
- 스피치
- 경제산업성
- 아마존
- 증강현실
- 빗썸
- 아바타
- AI
- 우버
- 로봇
- 이더리움
- 인공지능서비스
- 교육의 미래
- VR
- 테슬라
- 생애자원관리연구소
- 사물인터넷
- 자율주행
- 중소기업
- 말레이시아
- 인공지능
- 드론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