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 (CSTI) 는 국가 중점 연구개발사업인 ‘ 케이 ’ 평가 결과 및 파급효과를 발표 (’18.12.)

○ 문부과학성은 세계 최고수준의 범용성을 갖춘 슈퍼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’14~’20 년에 걸쳐 총1,100 억 엔을 투자할 차세대 ‘ 케이 ’ 프로젝트를 추진 중

- 일본이 직면한 과제 대응을 위해 ’21~’22 년 운용 예정

- 계산기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통합적 개발 (Co-design) 을 통한 성과 창출

- 개발목표는 최대 100 배의 어플리케이션 성능 실현 , 30~40MW 이하의 소비전력 달성 , ’19 년부터 시스템 제조 및 설치 착수임

 

○ HPCI(High Performance Computing Infrastructure) 계획추진위원회 주도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관점에서 중간평가 실시

 

1) 시스템 개발 평가 결과

○ ARM 아키텍처 도입을 통한 ARM 에코시스템 구축으로 인공지능 등 폭넓은 분야에 대한 적용 모색 중

-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운용 방향성에 대한 검토 및 제조단계에서 지연될 경우를 대비한 리스크 관리 필요

2) 어플리케이션 평가 결과

○ 일본의 시급한 과제인 건강장수사회 , 재해방지 , 에너지 문제 등 포스트 ‘ 케이 ’ 에 의한 대규모 시뮬레이션 필요

- 정부는 연구개발 성과 홍보 및 국가 과제 해결을 위해 차세대 ‘ 케이 ’ 시스템 개발주체와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Co-design 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다른 중점 과제 어플리케이션에도 적용 필요

 

3) 종합 평가

○ 차세대 ‘ 케이 ’ 는 소비전력 성능 및 연산성능 , 사용자 편의성 등이 세계적 수준으로 종합적으로 탁월하다는 평가

- ‘ 케이 ’ 는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한 계산과학의 연구기반이며 , Society 5.0 에 필요한 AI 및 빅데이터 등 분야에도 대응

- ‘ 케이 ’ 를 통해 Society 5.0 을 실현하기 위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, 관계부처간 연계를 통한 활용 시스템 필요

4) 향후 파급효과

○ 향후 차세대 ‘ 케이 ’ 를 통해 사회적으로 큰 혁신이 기대되는 5 대 전략 분야 선정

 

< 5대 전략 분야 파급효과 >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