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 (CSTI) 는 국가 중점 연구개발사업인 ‘ 케이 ’ 평가 결과 및 파급효과를 발표 (’18.12.)
○ 문부과학성은 세계 최고수준의 범용성을 갖춘 슈퍼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’14~’20 년에 걸쳐 총1,100 억 엔을 투자할 차세대 ‘ 케이 ’ 프로젝트를 추진 중
- 일본이 직면한 과제 대응을 위해 ’21~’22 년 운용 예정
- 계산기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의 통합적 개발 (Co-design) 을 통한 성과 창출
- 개발목표는 최대 100 배의 어플리케이션 성능 실현 , 30~40MW 이하의 소비전력 달성 , ’19 년부터 시스템 제조 및 설치 착수임
○ HPCI(High Performance Computing Infrastructure) 계획추진위원회 주도로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관점에서 중간평가 실시
1) 시스템 개발 평가 결과
○ ARM 아키텍처 도입을 통한 ARM 에코시스템 구축으로 인공지능 등 폭넓은 분야에 대한 적용 모색 중
-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운용 방향성에 대한 검토 및 제조단계에서 지연될 경우를 대비한 리스크 관리 필요
2) 어플리케이션 평가 결과
○ 일본의 시급한 과제인 건강장수사회 , 재해방지 , 에너지 문제 등 포스트 ‘ 케이 ’ 에 의한 대규모 시뮬레이션 필요
- 정부는 연구개발 성과 홍보 및 국가 과제 해결을 위해 차세대 ‘ 케이 ’ 시스템 개발주체와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Co-design 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다른 중점 과제 어플리케이션에도 적용 필요
3) 종합 평가
○ 차세대 ‘ 케이 ’ 는 소비전력 성능 및 연산성능 , 사용자 편의성 등이 세계적 수준으로 종합적으로 탁월하다는 평가
- ‘ 케이 ’ 는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한 계산과학의 연구기반이며 , Society 5.0 에 필요한 AI 및 빅데이터 등 분야에도 대응
- ‘ 케이 ’ 를 통해 Society 5.0 을 실현하기 위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, 관계부처간 연계를 통한 활용 시스템 필요
4) 향후 파급효과
○ 향후 차세대 ‘ 케이 ’ 를 통해 사회적으로 큰 혁신이 기대되는 5 대 전략 분야 선정
< 5대 전략 분야 파급효과 >
'기술자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국, 상하이 과학기술 발전 성과 분석 (0) | 2019.01.31 |
---|---|
일본, 수급 일체형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논의 (0) | 2019.01.28 |
미국,제조업 재활성화 방안 연구 (0) | 2018.01.21 |
글로벌 기업 R&D 투자,IT기업 두각…삼성전자 4위 (0) | 2018.01.18 |
폴더블 스마트폰 상용화 박차 (0) | 2018.01.16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자율주행차
- 경제산업성
- 비트코인
- 우버
- VR
- 자율주행
- 헬스케어
- 빅데이터
- 중소기업
- AI
- 인공지능서비스
- 연설문
- 가상현실
- 로봇
- 교육의 미래
- 스피치
- 말레이시아
- 삼성전자
- 생애자원관리연구소
- 인공지능
- 아바타
- AR
- 아마존
- 사물인터넷
- 이더리움
- 테슬라
- 증강현실
- 빗썸
- 교육효과
- 드론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